카테고리 없음

간이과세자 부가세신고 방법 알아야 가산세 안냅니다!

pp300 2023. 1. 13. 12:14
반응형

간이과세자부가세신고

 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

간이과세자여도 신고의 의무가 있는 간접세

부가가치세정의

오늘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방법을 통해 가산세를 피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부가가치세가 무엇인지 알고 계시나요? 부가가치세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부과되는 조세로 간접세에 속합니다.

부가가치세납세의무자

보통 물품가액의 10%가 부가가치세로 부과됩니다. 기본적으로 이 부가가치세는 영리 목적과 아닌 비영리목적으로 판매하는 상품이더라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간이과세자의 개념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점

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차이

모든 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 과세자와 간이 과세자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일반과세자의 경우 부가가치세 10%의 세율을 그대로 적용하지만 간이과세자에게는 1.5%~4%의 낮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즉, 세율적용 퍼센트의 차이로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가 구분되는 것입니다.

간이과세자기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구분은 매출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1년간의 매출액이 8,000만 원 8,000만 원 이상인 사업자는 일반과세자입니다. 그러나 1년간의 매출액이 8,000만 원 미만인 신규사업자는 간이과세자로 분류됩니다.

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구분

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을 적용받는 대신 물품을 구입하며 받은 매입세금 계산서 상의 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고 세금계산서도 발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이과세자는 저렴한 세율을 적용받는 대신 물품 매입액의 0.5%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 신규사업자이거나 직전연도 매출액이 4,800만 원 미만인 경우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

 

 간이과세자의 장점과 단점

일반과세자와 비교

간이과세자장단점

간이과세자의 장단점을 정리해 봤습니다. 세금계산서 발급여부와 물품 구매 시 세액공제혜택 정도를 확인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간이과세자 업종별 부가가치율

업종 별로 상이한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업종별부가가치율

같은 간이과세자여도 업종별로 부가가치율은 상이합니다. 21.7.1일 이후 개정된 비율을 보셔야 합니다. 소매업, 판매업 및 음식업이 15%로 가장 낮습니다. 금융 관련 서비스업, 부동산관련업, 임대업 등은 40%로 부가가치율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일반과세자의 경우 업종 별 세율 차이가 없이 10%의 세율이 고정입니다. 그러나 간이과세자는 업종 별로 부가가치율이 다릅니다. 이 업종별 부가가치율에 10%를 곱한 금액이 납부해야 할 세액입니다.

 간이과세자 세금 신고기간

 과세기간과 신고납부

간이과세자신고납부기간

간이과세자는 과세기간이 1년입니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깔끔하게 떨어지는 1년을 과세 기간으로 잡습니다. 따라서 신고 납부는 1년에 딱 한 번만 진행하면 됩니다.

간이과세자부가가치세신고기한

다음 해의 1월 1일부터 1월 25일까지 진행하면 됩니다. 2023년의 경우 설연휴로 인해 25일까지의 신고기한이 1월 27일까지로 늘어났습니다.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신고하기

국세청홈택스세금신고

 먼저 국세청 홈페이지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신고/납부 탭을 클릭합니다. 지금 부가가치세 신고 납부 기한인데 메인 화면에 떠있네요.

부가가치세간이과세자신고

 신고/납부 탭에 이어서 부가가치세-간이과세자를 클릭하시고 세금신고를 해주시면 됩니다. 클릭이 귀찮으시다면 아래를 통해 바로 부가가치세를 신고하러 가시면 됩니다.

정기신고 납부기간에 신고를 하는 간이과세자는 확정신고 대상자입니다.

 

그러나 간이과세자 중 휴업 또는 사업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된 경우에 7월 1일~25일까지 예정신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해서 입력해 주세요.

간이과세자확정신고간이과세자버튼설명

날짜에 맞게 정기신고나 기한 후 신고, 수정신고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신고를 하고 나면 사업자 별 세액에 따라서 부가가치세 환금액이 있으면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세금을 국세청에서 더 추징해갈 수도 있습니다.

 간이과세자가 신고를 하지 않는다면?

 가산세액 최대 40% 부과

부가가치세가산세

간이과세자가 부가가치세 신고에 응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임한 경우 세금에 가산세를 부과합니다. 무신고, 납부불성실, 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 불성실 등 가산세가 붙는 항목이 여러 가지 있습니다. 각 항목의 경중에 따라서 가산세액은 각기 다릅니다. 부당 무신고를 한 경우 납부세액의 가산세가 40%로 가장 높습니다. 간이과세자시라면 신고 납부기한 안에 정당하게 세금신고를 하시고 가산세를 피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챙겨보면 좋은 글

2023.01.12 - [분류 전체보기] - 2023 연말정산 기간 및 환급금 조회방법 총정리

 
 
 

2023 연말정산 기간 및 환급금 조회방법 총정리

2023 연말정산 준비기간이 끝나고 1월 15일부터 본격적으로 연말정산 소득, 세액공제 증빙자료를 확인하는 기간이 다가왔습니다. 15일부터 이어지는 연말정산 기간을 체크하시고 연말정산 환급금

1.bombshell30.com

2023.01.12 - [분류 전체보기] -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후 현금화 하고 숨은돈 찾기!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후 현금화 하고 숨은돈 찾기!

신용카드 사용 안 하는 분 있으신가요? 신용카드, 체크카드를 사용하면서 알게 모르게 쌓인 포인트들이 참 많습니다. 카드를 신청할 때는 포인트 혜택이 좋아서 신청했지만 막상 그 포인트를 환

1.bombshell30.com

2022.12.31 - [분류 전체보기] - 자동차세 계산기 사용하여 연납할인 받기

 

자동차세 계산기 사용하여 연납할인 받기

자동차세 계산하기 차량 별로 다르게 부과되는 세금 자동차세를 보유하고 있다면 무조건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한다. 비영업용인지 영업용인지와 배기량이 몇인지에 따라 내야 하는 세금이 다

1.bombshell30.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