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지급조건 놓치지 말자!

by pp300 2023. 1. 6.
반응형

청년월세지원
청년월세지원 총정리

1. 청년월세지원이란?

저소득 독립청년 지원제도

청년월세지원 지원대상
지원대상

청년월세지원은 자격조건에 해당하는 청년들에게 매달 20만 원씩 12개월간 총 240만 원의 월세를 지원해주는 제도이다. 

지원대상&기준

청년원세지원조건

연령과 거주하는 주택의 요건, 청년가구와 원가구의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하면 월세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청년월세지원중위소득
중위소득 기준

청년이 세대분리를 한 경우 중위소득

청년세대분리무주택세대주청년
무주택세대주 청년

만약 청년이 부모님과 세대분리를 한 무주택 세대주라면 청년가구 기준만 보면 된다. 즉, 청년가구 1인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이때 청년이 혼자 살고 있다면 1인 116만 원 이하, 배우자와 동거 중이라면 2인 196만 원 이하, 배우자와 자녀 1명과 살고 있다면 3인 251만 원 이하의 소득을 충족해야 한다. 이를 충족하면 청년월세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세대분리만 되어 있다면 부모님의 소득조건은 아무 상관이 없다.

 청년이 세대분리를 하지 않은 경우 중위소득

청년과원가구부모님과청년
청년과 원가구 모두 포함

청년이 부모님과 세대분리를 하지 않았다면 위의 청년가구 기준 + 원가구 기준까지 충족해야 한다. 즉, 독립한 청년과 부모님의 소득까지 함께 고려해야 된다는 것이다. 청년이 1인 가구일 때 부모님 두 분은 따로 살고 있지만 세대분리는 안된 상태라면 원가구는 3인이 된다. 이 경우 청년가구 1인 중위소득 60% 이하인 116만 원 이하의 소득, 원가구 3인 419만 원 이하의 소득을 모두 충족해야 월세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2.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복지로청년월세지원신청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신청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하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위 조건만 충족한다면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기 버튼 클릭 후 간단한 서류 2개만 작성해서 제출하면 된다.

또 신청페이지에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서식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서식을 다운로드 후 제출하면 된다.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서식.pdf
0.26MB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_사업 매뉴얼_22년 8월 v2.pdf
2.42MB

어렵지 않으니 지원 조건이 맞는다면 꼭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기를 바란다. 청년 본인의 상황에 해당하는 구비서류가 조금씩 다르므로 홈페이지에서 매뉴얼을 자세히 읽어보아야 한다.

오프라인으로 신청하는 경우

오프라인신청을 하는 경우 청년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하여야 한다. 청년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나 불가피한 경우 법정대리인, 주민등록상 동일세대원(동거인제외)이 아닌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대신 신청해줄 수 있다. 대리 신청의 경우 ① 대리인 신분증 ② 본인 위임장 ③ 본인-대리인 관계 증명서류를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 대리인이 신청하더라도 현금은 청년 본인의 계좌로 받을 수 있다.

 

3. 소득, 재산요건 확인방법

근로자소득사업가소득
근로자와 사업가 소득확인

근로자일 경우 1.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2 근로복지공단 자료, 3 국민연금공단 자료, 4 국세청 자료 순서로 확인히면 된다. 사업자인 경우에는 국세청 종합소득 자료 중 농업, 어업, 임업을 제외한 사업소득을 확인하면 된다.

재산소득확인
재산소득확인

재산소득은 국세청 자료를 기반한 임대 소득, 이자 배당소득, 기타 소득과 재산세 항목인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 회원권, 임차보증금,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의, 자동차를 고려하여 반영한다. 재산요건의 경우 청년은 1억 7백만 원 원가구는 3억 8천만 원 이하여야 지원 대상에 속한다.

4. 그 외 청년월세지원 관련 정보

일단 한번 선정되면 지원보장

청년월세지원정보

일단 지급조건 대상자가 되어 한번 청년월세지원에 선정이 된다면 12개월간 계속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만 34세 상태에서 신청하여 만 34세가 넘더라도 신청일 기준 12개월 동안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재산이나 소득요건이 선정된 이후 기준초과가 되더라도 신청일 기준 12개월은 지원이 보장된다.

 

 

 

 

반응형

댓글